SKCT (SK Competency Test)
SKCT는 지원 직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검사로 인지역량(Critical Thinking), 실행역량(Situational Judgment), 심층역량(Work Personality) 3단계로 실행됩니다.
SKCT (SK Competency Test) 소요시간 (표)입니다. 이 표는 구분, 인지역량, 실행역량, 심층역량, 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구분 |
인지역량 |
실행역량 |
심층역량 |
계 |
써니루키팀 |
담당 업무 |
청년 사회혁신가 육성 사업 기획 청년이 사회혁신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청년 인재를 육성하는 방법에 대한 실제적인 사업모델 기획·운영 - 청년(육성, 교육, 창업 등) 분야에 대한 자료조사 및 인터뷰 등의 리서치 업무 - 청년(대학생, 非대학생) 대상 육성 프로그램 및 운영 커리큘럼 개발 - 개발된 프로그램 직접 수행 및 효과성 평가 - 사회혁신 분야 교육 (일부 과정 직접 교육) - 사회혁신가 및 대학교 네트워크 개발 및 관리 - 청년 사회혁신가 페스티발 기획 및 운영 |
모집 인원 |
1명 |
지원 자격 |
아래에 해당하는 3년 ~ 7년 이하의 경력을 보유하신 분, 교육, 창업지원 등 인재육성 관련 실무를 해보신 분 (3년 이상 경력), 국내외의 다양한 사회문제에 깊이있는 분석 및 솔루션 기획이 가능한 분,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정신과 학습 열정이 있으신 분 |
우대 사항 |
스타트업(교육분야) 및 소셜벤처 등 창업 경험이 있으신 분, 영어 소통 역량이 우수하신 분 |
주의사항 : SKCT는 지원 직무에 부합한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다각도로 진단하는 검사로, 거짓으로 응답하거나 스스로를 포장할 경우 오히려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반드시 솔직하게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.
1. 인지역량(Critical Thinking)
A. Verbal Critical Thinking
언어로 구성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, 자료의 의미를 해석하고 파악해 내는 능력을 측정합니다.
[샘플 문제] Q. 다음 중 아래 글을 읽고 글로벌 기업의 성공적 대응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면?
전 세계적으로 저성장이 장기화되고 있고, 낮은 가격을 무기로 개발도상국 업체들이 추격해 오고 있다. 이와 같이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대응하는 유형은 크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. 첫 번째로 차별화 전략을 들 수 있다. 디자인, 성능, 브랜드 및 사용 경험 등을 차별화하는 방법이다. 두 번째로 저가로 맞대응하는 유형이다.전체적인 구조조정을 통한 원가 혁신으로 상대 기업에 비해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이다. 세 번째로 차별화와 원가 혁신의 병행 전략을 선택하는 경우이다. IT 기술의 발달로 제품 및 서비스의 비교가 쉬워지면서 제품 차별화 혹은 원가 혁신과 같은 단일 전략보다는 차별화와 원가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. 네 번째는 경쟁의 축을 바꿈으로써 시장을 선도하는 경우이다. 이는 시장에 새로운 게임의 룰을 만들어서 경쟁에서 벗어나는 방법이다. 마지막으로 제품만 팔다가 경쟁의 범위를 솔루션 영역으로 확장하면서 경쟁력을 높이는 경우이다.
① A 식품은 캡슐 커피라는 신제품을 통해 새로운 커피 시장을 창출할 수 있었다.
② B 항공사는 필수 서비스만 남기는 파격적 혁신으로 우수한 영업 실적을 기록했다.
③ C사는 시계를 기능성 제품보다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전략을 구사했다.
④ D사는 최근 IT 기기 판매 대신 기업들의 IT 서비스 및 컨설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.
⑤ E사는 신제품 홍보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골고루 활용하여 고객의 주목을 받고 있다.
B. Numerical Critical Thinking
수/도형 등으로 구성된 자료를 활용하여, 수리적으로 사고하고 논리적으로 유추하는 능력을 측정합니다.
[샘플 문제] Q. 아래 표에는 OO반도체의 올해 3분기까지의 판매 실적이 나와 있다. OO반도체는 표에 나온 4가지 제품만을 취급한다고 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설명을 고르면?
OO반도체의 올해 3분기까지의 판매 실적 (표)입니다. 이 표는 제품/실적, 분기별 판매량(단위:만개)(1분기,2분기,3분기), 분기별 판매액(단위:억원)(1분기,2분기,3분기)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제품/실적 |
분기별 판매량(단위:만개) |
분기별 판매액(단위:억원) |
1분기 |
2분기 |
3분기 |
1분기 |
2분기 |
3분기 |
A |
70 |
100 |
140 |
60 |
120 |
160 |
B |
55 |
50 |
80 |
70 |
60 |
130 |
C |
85 |
80 |
110 |
75 |
120 |
130 |
D |
40 |
70 |
70 |
65 |
60 |
100 |
합계 |
250 |
300 |
400 |
275 |
360 |
520 |
① 1분기부터 3분기까지 판매액 합계 상위 2개 제품은 A와 C이다.
② 2분기에 전 분기 대비 판매량, 판매액 모두 증가한 제품은 A뿐이다.
③ 1분기보다 2분기, 2분기보다 3분기에 제품의 평균 판매 단가가 높았다.
④ 3분기 A제품의 판매량과 판매액 모두 전체의 1/3을 넘었다.
⑤ B제품은 2분기에 판매량과 판매액이 일시 감소했으나 3분기에 회복되었다.
2. 실행역량(Situational Judgment)
문제/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, 대안을 모색하며, 목표를 세우고 추진하는 역량을 측정합니다.
[샘플 문제] Q. 사원 A는 우연히 팀장 B와 단둘이 식사를 하게 되었다. B는 A에게 요새 우리 팀이 많이 바빠 개인시간이 없긴 하겠지만 그래도 사원들이 자기개발에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. 장기적으로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개발은 꼭 필요하다고 역설하면서 혹시 A에게 팀원들의 자기개발을 격려할 만한 방법이나 아이디어가 있으면 생각해보고 말해 달라고 하였다. 조직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다음 중 가장 바람직한 A의 행동은?
① 자기개발 관련된 도서 목록 및 활동 등을 작성해 사무실 곳곳에 붙여 놓는다.
② 팀 전체 회의가 있을 때 자기개발을 위한 사내 스터디 모임을 추진하자고 제안한다.
③ A 자신의 자리에 자기개발 계획을 크게 붙여 놓고 이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.
④ 다양한 자기개발 프로그램을 조사해 현재 조직 상황에 맞게 변경한 뒤 B에게 제안한다.
⑤ 평소 여유 있을 때 자기개발을 위해 노력하자고 기회가 될 때마다 팀원들에게 얘기한다.
3. 심층역량(Work Personality)
SK의 ‘일 잘하는 인재’가 직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성격, 가치관, 태도를 측정합니다.
[샘플 문제] 각 문제에 대해 자신이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‘전혀 그렇지 않다’면 ①, ‘그렇지 않다’면 ②, ‘그렇다’면 ③, ‘매우 그렇다’면 ④로 응답하십시오.
Q. 공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사적인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는다.
① 전혀 그렇지 않다. ② 그렇지 않다. ③ 그렇다. ④ 매우 그렇다.
Q. 같은 팀으로 일하는 사람끼리는 각자 자신의 일에 집중하면 된다.
① 전혀 그렇지 않다. ② 그렇지 않다. ③ 그렇다. ④ 매우 그렇다.
(가)에 가까울수록 ①에 가깝게, (나)에 가까울수록 ④에 가깝게 응답하십시오.
(가) 팀원들의 의사와 결정을 존중한다.
(나) 풀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오랜 시간 생각하기를 좋아한다.
① (가)에 매우 가깝다. ② (가)에 가깝다. ③ (나)에 가깝다. ④ (나)에 매우 가깝다.